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의사소통, 생체시계, 학습행동

by memo5115 2025. 2. 20.
반응형

의사소통, 생체시계, 학습행동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동물들 사이의 사회성에서 필수적인 기능을 합니다. 그들은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등 여러 형태의 신호를 활용합니다. 같은 종 내에서는 주로 시각적 신호가 전달됩니다. 몸의 자세, 자연색, 표정 그리고 움직임 모두 공격성이나 복종의 의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시각적 의사소통의 유형의 이점은 빠르고 직접적이라는 점입니다. 반면 단점은 보통 가까운 거리 및 특정 환경 아래(예를 들면 낮)서만 작동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청각신호는 목소리 또는 다른 종류의 소리입니다. 청각신호는 주로 세력권의 경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례로 딱따구리의 나무 쪼는 소리를 들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전형적인 청각신호로는 새끼오리와 부모사이의 의사소통이나 개구리의 울음소리와 같은 음성의사소통입니다. 화학적 신호는 세력권 경계를 정하는 냄새표시로 주로 사용됩니다. 화학적 신호는 개미가 길을 찾는 표지 역할을 하거나 짝짓기 상대를 찾기 위한 페로몬으로써의 역할을 합니다. 영장류 사이에서 서로 털을 골라주는 것과 같은 신체접촉을 통한 의사소통인 촉각신호는 주로 표유류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의식화는 동종 간 의사소통을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진화과정에서 변화한 고정 행동양식입니다. 많은 조류종의 구애동작은 깃털 고르기나 둥지 틀기와 같은 다른 행동연쇄의 일부가 통합된 변형된 행동양식의 예입니다. 즉, 수탉은 짝짓기 전 암탉을 보며 어미닭이 병아리를 유인하는 것처럼 발로 땅을 긁습니다. 메시지 전달을 위해 활용하는 신체 부분은 눈에 띄게 하기 위해서 화려합니다. 예를 들어 수컷 농게의 집게발은 비대칭적이고 둘 중 하나가 눈에 띄게 큽니다. 농게는 큰 집게발로 짝짓기 준비가 된 암컷을 유인합니다. 뿐만 아니라, 의식화 행동을 함으로써 보통 공격조절의 효과도 있습니다.

 

생체시계

생체시계에 의해 동물들의 잠드는 시기와 일어나는 시간 등이 제어됩니다. 위교차핵(SCN)은 8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작은 기관인데 포유류의 눈 뒤쪽 시신경이 교차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눈에 있는 빛에 민감한 감각세포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위교차핵으로 보낼 때 호르몬이 나오고 일정한 반응을 유발합니다. 일일주기에 빛은 큰 영향을 주는 타이머 역할을 합니다. 뿐만 아니라, 온도 또한 시시각각 변화하며 생체시간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입니다. 활동일주기 이외에도 내재된 달력이라고도 하는 활동연주 기와 같은 다른 주기도 있습니다. 활동연주 기는 많은 동물들의 번식과 이동을 조절합니다. 동물의 이동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장거리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많은 동물이 여러 가지 이유로 장기적인 이동을 시행합니다. 일생의 대부분은 유럽의 강에서 보내는 유럽뱀장어와 같은 물고기들은 알을 낳기 위해 이동합니다. 유럽뱀장어는 알을 낳기 위해 사르가소 해로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합니다. 뱀장어는 그곳에서 부화하고 3년 이내에 민물로 이동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부모가 자랐던 바로 그 강으로 정확하게 찾아갑니다. 바다에서 자라고 알을 낳기 위해 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점을 제외하면 연어도 이와 비슷한 생의 주기를 보냅니다. 세렌게티 국립공원의 유제동물들은 매년 먹이를 찾아 이동합니다. 수천 마리의 누, 얼룩말, 가젤, 그리고 다른 여러 포유류들이 먹이가 풍부한 초원을 찾아 나무 한 그루 없는 평원을 지납니다. 새들의 여행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예시입니다. 겨울이 시작되면 많은 종류의 새들이 따뜻한 지역으로 날아가기 위해 멀리 이동합니다. 조류는 수천킬로미터를 종종 날아가며 이를 위해 정확하고 복잡한 비행기술을 사용합니다

 

학습행동

학습행동을 통해 동물은 학습을 하는데 학습이란 개인의 경험을 장기기억에 저장하여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능력입니다. 이러한 학습능력은 척박한 생활환경에서 생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학습행동에는 각인과 조건형성이 있습니다. 각인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어린 동물들에게 기본적인, 가장 필요한 학습경험입니다. 각인은 역행이 불가능하고 정해진 시기에 한정하여 발생합니다. 조류의 결정적 시기는 부화한 직후입니다. 각인은 새끼 거위가 어미를 따라다니는 것과 같이 개체로부터 구체적인 반응을 이끌어냅니다. 대상각인에서는 어떤 물체나 다른 동물이 특정한 반응에 대한 자극을 제공하는 반면, 행동각인에서 자극을 제공하는 것은 행동양식입니다. 조건형성은 특정행동을 구체적인 자극과 연합하는 학습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눈에 바람을 훅하고 불면(무조건 자극) 자연적으로 눈 깜빡임 반사(무조건 반사)가 일어납니다. 음악을 들을 때에는 (중립자극) 눈 깜빡 임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중립자극을 항상 눈에 바람을 불어넣은 다음 주게 되면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른 후엔 그 음만으로도 눈 깜빡임 반사를 유도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자극을 조건자극이라고 하며, 이에 대한 반응을 조건반응이라고 합니다. 조건반응의 발달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고전적 조건형성이라고 합니다. 대개의 경우 독립적 두 요소를 연합하는 학습과정을 조건적 연합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많은 새들은 생애 전반에 걸쳐 어떤 물질이 특히 둥지 만들기에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그것을 찾아다닙니다. 즉 긍정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이전에는 중립적이었던 자극이 연합된 반응을 불러일으킵니다. 동물은 부정적인 경험에서도 학습합니다. 원래 중립적이었던 자극이 무섭거나 고통스러운 사건과 연결되면 동물은 그 자극을 피하기 시작합니다. 이를 조건혐오라고 합니다. 동물이 항상 특정한 행동을 보인 다음에 즉시 보상을 받는다면 그 행동은 보상과 연합하게 됩니다. 그 행동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도구로써 작동합니다. 이것을 조작적 조건형성이라고 합니다.

반응형